세상에 필요한 약을
더 빨리 만들어 내는 AI 기술이 있다고?
제약

글로벌 제약 회사 M&A 순위 (화이자, 에브비, 머크, BMS, 로슈, 릴리, 사노피)

2023년 글로벌 제약사 M&A 현황을 분석한 결과, 코로나 펜데믹 이후 시장 활성화를 기대할 만한 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주요 거래로는 화이자와 씨젠의 합병, 에브비와 이뮤노젠의 합병, 머크의 프로테우스 바이오사이언스 인수 등이 있습니다. 또한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로슈, 릴리, 사노피 등도 다양한 기업을 인수하며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medichem
정희진 신약개발본부장
2024.01.185min read
global-pharma-m&a

글로벌 제약 회사 M&A 현황

코로나 펜데믹 기간 (2021-2022) 제약바이오 M&A 시장은 거래량과 거래 규모가 대폭 줄었던 침체기였습니다. 하지만 2023년엔 100억 달러대 거래 3건과 400억 달러 규모의 대형 M&A가 성사되면서, 시장의 재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2023-global-pharma-2023
그림.1 2023년 주요 다국적 제약 회사 M&A 현황

각 제약회사의 M&A 거래를 살펴보기 앞서, M&A 뜻을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M&A는 'Mergers and Acquisitions'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합병 및 인수'를 의미합니다.

  • 합병(Mergers)은 두 개 이상의 기업이 하나로 결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업들은 자산, 부채, 영업권 등을 포함한 모든 자원을 통합하게 됩니다.
  • 인수(Acquisitions)는 한 기업이 다른 기업의 주식이나 자산을 매입해, 그 기업에 대한 경영권을 확보하고 통제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M&A는 기존 시장 점유율을 확대, 새로운 시장 진입, 핵심 기술 확보, 경쟁 감소 등을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기업의 성장, 경쟁력 강화, 비용 절감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진행되곤 합니다.

2023년 상반기 글로벌 제약 회사 56개 M&A 성사

먼저, 상반기의 주요 M&A 딜은 56개가 성사되었고 4개의 질환 (Oncology, Metabolic disorders, Immunology, Neurosciences) 및 그 외 기타질환으로 구분됩니다. 

1. 글로벌 제약 회사 M&A 순위 - 화이자

가장 큰 규모는 430억 달러(61조 원) 규모의 딜로 발표된 ‘화이자(Pfizer)’와 ‘씨젠(Seagen)’의 합병 건입니다.

pfizer

seagen

(참고자료 : 주요 적응증별 2023 상반기 글로벌 제약·바이오 M&A 사례, KDDF, 2023.07.17)

2. 글로벌 제약 회사 M&A 순위 - 에브비

그 뒤를 이어 ‘에브비(AbbVie)’와 ‘이뮤노젠(ImmunoGen)’의 합병 건도 주목할 만합니다.
에브비는 이뮤노젠을 약 101억 달러(14조 원)에 인수하며, 항암제 분야의 입지를 더욱 강화했습니다. 이뮤노젠은 ADC 항암제로 난소암 치료제인 엘라히어(ELAHERE, 성분명 미르베툭시맙 소라브탄신)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항-FRα ADC인 IMGN-151과 혈액암을 표적하는 항-CD123 ADC 피베키맙(Pivekimab)도 개발 중입니다. 이를 통해 에브비는 고형암과 혈액암을 아우르는 파이프라인으로 확장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인수는 이러한 전략적 방향성을 잘 보여주는 M&A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abbvie

immunogen

(관련기사 : "애브비, ADC 항암제 전문기업 이뮤노젠 인수, 의약뉴스, 2023.12.01)

3. 글로벌 제약 회사 M&A 순위 - 머크

그다음은 108억 달러(15조 원) 규모의 ‘머크(MSD)’가 ‘프로메테우스 바이오사이언스(Prometheus Biosciences)’를 인수한 사례입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머크는 장내 염증 및 섬유증과 관련된 단일클론항체를 타겟으로 하는 파이프라인을 확보했습니다. 해당 파이프라인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포함한 면역 질환 치료제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록 단일 거래지만, 100억 달러(14조 2천억 원)가 넘는 대형 딜인 만큼 머크의 향후 개발 방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MSD

Prometheus-biosciences

(관련기사 : 머크가 14조 통큰 투자해 프로메테우스 인수한 이유, 조선 일보, 2023.04.17)

4. 글로벌 제약 회사 M&A 순위 - BMS

단일거래는 아니지만 화이자 다음으로 M&A에 많은 금액을 투자한 회사는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 입니다. BMS는 미라티 테라퓨틱스를 최대 58억 달러(약 7조 8,000억 원)에 인수했으며, 총 3개의 바이오텍 기업을 인수하면서 중추신경계(CNS)와 종양학 분야의 파이프라인을 강화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카루나 테라퓨틱스 (Karuna Therapeutics)’ 는 알츠하이머병 정신증 및 신경정신과적 적응증에 대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First in class 약물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BMS 매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종양학 분야에서는 KRAS 억제제 (Krazati, 성분명: 아그다그라십·adagrasib)를 개발한 ‘미라티 테라퓨틱스 (Mirati Therapeutics)’를 인수하며, 항암제 사업의 성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bristol-myers-squibb

karuna

(관련 기사 : BMS, 표적항암제 개발사 미라티 전격 인수, 의약뉴스, 2023.12.01) 

5. 글로벌 제약 회사 M&A 순위 - 로슈

‘로슈(Roche)’ 는 위고비를 맞설 비만약을 개발할 것으로 선언하였습니다. 27억 달러(3조 8,400억 원)에 ‘카못 테라퓨틱스 (Carmot Therapeutics)’를 인수하며 GLP-1 비만약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카못은 다음과 같은 파이프라인을 개발 중입니다:

  • CT-388: 주 1회 피하 주사하는 GLP-1/GIP 수용체 이중 작용제
  • CT-996: 하루 1회 복용하는 경구용 저분자 GLP-1 수용체 작용제
  • CT-868: 제1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하루 1회 주사하는 GLP-1/GIP 수용체 이중 작용제

roche

(관련 기사 : “위고비 맞설 비만약 개발 선언한 ‘로슈’, PHARMA EDAILY, 2023.12.12)

6. 글로벌 제약 회사 M&A 순위 - 릴리

100억 달러 이상의 거액 거래는 아니지만 다수의 기업을 인수하면서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추가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바로 ‘일라이 릴리(Eli Lilly)’인데요. 일라이 릴리는 4개의 기업을 인수하면서 고형암 ADC와 방사성 의약품, 제1형 당뇨병 세포 치료제, 경구용 IL-17 억제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방사성 의약품 치료 방식이 지닌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번 M&A는 치료가 어려운 암을 대상으로 의미 있는 방사성 리간드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방사성 의약품 (Radio-Pharmaceuticals) 은 방사성 동위원소와 의약품을 결합하여 제조된 특수의약품입니다.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수 있습니다. 방사성 동위원소에 따라 진단과 치료를 분류 가능하며, 의약품은 타겟질환으로 이끄는 캐리어 역할을 수행합니다. 낮은 개발 비용과 암세포 표적 기능이 장점입니다. 정상 조직 손상에 의한 최소한의 부작용을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해 뛰어난 항종양 효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lilly

(관련기사 : 릴리, 방사성의약품 개발사 포인트 바이오파마 인수, 의약뉴스, 2023.10.04)  

7. 글로벌 제약 회사 M&A 순위 - 사노피

‘프로벤션 바이오(Provention Bio)’를 29억 달러에 인수해 화제를 모은 사노피의 행보도 주목해야합니다. 그동안 사노피는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전통적인 강자로 군림해왔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인슐린 치료 옵션들을 개발하여 임상 현장에 공급해왔습니다. 인슐린 도입 100년을 넘어선 현재까지도 당뇨병 치료제의 글로벌 강자로 입지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글로벌 제약 회사들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한때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를 개발하지 않기로 결정했던 사노피가 다시 전략을 선회했습니다. 제1형 당뇨병을 지연시키는 치료제를 보유한 회사를 인수하면서, 사노피의 향후 행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sanofi

(관련 기사 : 당뇨 지연제 개발사 인수한 사노피, 다시 선두 노리나,  약사 공론, 2023.03.17)

마무리

결론적으로 2023 글로벌 제약 회사 M&A는 종양학 분야에서 거래가 가장 많았고, ADC 기업에 가장 큰 거래가 성사되는 특징을 보였습니다. (관련 기사 : 올해 글로벌제약 M&A 키워드 ADC·비만·희귀질환, 데일리팜, 2023.12.06)

이러한 M&A 현황 분석은  제약 시장에서 약물의 새로운 모달리티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방사성 의약품과 같은 다양한 치료 방식의 가능성을 엿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나 싶습니다. 국내 제약 산업에서도 기술 수출과 물질의 라이센스 아웃 소식이 가끔 들리긴 하지만, 다국적 제약사에 비해 부족한게 현실입니다. 글로벌 제약 회사의 의사결정을 보면서 더 많이 배우고 경험을 쌓으면, 조만간 기분좋은 신약 개발 뉴스를 접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며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