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RK4 inhibitor 신약 개발을 위한 하이퍼 스크리닝 활용 사례를 소개합니다. 초기 유효물질 발굴부터 실험 결과 확인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Hyper Screening을 활용해 총 107개의 화합물 중 16개의 후보 물질이 도출되었고, 이후 cell viability 실험을 통해 IC₅₀ < 10μM 이하의 물질 1종을 확보했습니다.
신약개발을 위한 타겟과 질환은 정해졌으나 초기 유효물질 (Hit compound) 을 찾고자 하시는 분들이라면 히츠에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시작해보세요.
Hyper Lab은 AI 기반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단백질-화합물 상호작용 예측(하이퍼 바인딩), 신규 분자 설계(하이퍼 디자인), 약물 특성 예측(하이퍼 ADME/T), 대규모 분자 스크리닝(하이퍼 스크리닝)을 통해 신약 개발 과정을 혁신적으로 단축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Hyper Screening을 어떻게 활용했는지에 대한 실제 사례를 소개합니다.

단백질 키나아제 MARK에 의한 tau의 microtubule-binding domain의 phosphorylation은 GSK-3 및 CDK5에 의한 tau의 hyperphosphorylation을 촉진하여, tau가 filament 및 tangle로 응집되도록 합니다. 이는 microtubule network의 불안정과 붕괴를 유발하게 됩니다. 즉, MARK4 억제를 통해 암세포의 증식과 전이를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signaling pathway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logP : 3 – 5
tPSA : <90
MW :<500
HBD <3
Solubility : Moderate ~ Soluble
참고 ) 하이퍼랩 solubility 기준은 <중성 pH에서의 log S (log [mol/L])를 예측한 후 다음 기준에 따라 표시합니다.>
- Insoluble : log S < -6
- Soluble : -4 < log S
- Moderate : -6 ≤ log S ≤ -4

2. 문헌들을 참고하여 ATP binding site 선정합니다.

3. ATP competitive inhibitor 목표이기에 Hinge interaction을 주요 contact residue 로 지정합니다.
4. ref. 화합물들을 리스트업하여 하이퍼랩에 입력하고 binding score 기준을 정합니다.

5. 하이퍼 스크리닝을 수행합니다.
하이퍼랩 라이브러리 또는 자체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가상 스크리닝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AI 신약개발 플랫폼 하이퍼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