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비만약’ GLP-1기반 치료제의 진실


‘꿈의 비만약’ GLP-1 기반 치료제의 진실
올해 제약바이오 업계 전반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단연 AI, GLP-1, ADC가 있습니다.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의 주 1회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세마글루티드 성분의 오젬픽(Ozempic)과 위고비(Wegovy) 역시 독보적인 시장 점유율과 성장을 보여주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 오젬픽의 매출은 전년 대비 36% 증가한 1조 2,900억 원을 기록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46.6%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임상에서 15~20%의 체중 감량 효과가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만 대사 수술 수준인 25~30%의 체중 감량에는 도달하지 못한다는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여전히 존재합니다. *현재 비만 치료제에 대한 FDA 가이드라인은 5% 이상의 체중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전연구>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체중감소라는 뜻밖의 효과로 인해 꿈의 비만약이 된 GLP-1 치료제의 작용원리가 궁금한 시점에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중개연구를 통해 원리를 밝혀냈어요. 음식을 섭취하지 않았음에도 배부름을 느끼게 하는 신경을 자극해서, 가짜 포만감을 만든다는 겁니다.
GLP-1 수용체는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뇌 시상하부 위쪽 신경핵에 많이 분포되어 있고, 이를 인위적으로 활성화(증가)한 결과 가짜 배부름을 느끼고 즉각 식사를 멈추는 것이 밝혀졌어요.
* 중개연구: 증상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사람에게는 감정 측정을, 쥐를 통해서는 신경 측정을 진행하는 방법
Science, 27, 2024,vol 385, issue 6707, 438-446
<위고비 (GLP-1 유사체 -세마글루타이드) 의 핵심 기전 >
- 음식이 위에서 소장으로 넘어가는 속도를 늦추고, 이로 인해 포만감 증가
-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여 소화속도를 늦추고, 속도저하로 인해 인슐린 분비량 감소
- 식욕을 조절하는 렙틴 호르몬을 증가시켜 식욕 억제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4에서 공개한 국내기업 개발 현황>
대웅제약과 현대약품을 제외하면 5개 기업이 GLP-1 기반 치료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 4년 동안 ADA에서 GLP-1 계열의 연구가 주류였지만, 앞으로는 GLP-1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이중·삼중 작용제에 대한 경쟁력이 필요합니다.
회사 | 물질 | 내용 |
---|---|---|
한미약품 | HM15275 | GLP-1/GIP/GCG 급성 및 만성 신장질환 전임상 모델 심장보호 효과 |
GLP-1/GIP/GCG 고혈압 동물모델서 잠재적 심장보호 | ||
GLP-1/GIP/GCG 동물모델 강력한 체중 감소 및 혈당 조절 | ||
GLP-1/GIP/GCG 신규 지속형 심부전 동물 모델의 삼중항진 | ||
대웅제약 | 엔블로 | 다파글로플로진 대조 혈당조절 어려운 경증의 신기능 저하환자 임상 3상 연구 |
동아 에스티 | DA-1726 | GLP1R/GCGR 이중 작용제, 비만 치료 및 지질 관리에 대한 유망한 접근 방식 |
프로젠 | PG-102 | GLP1R/GLP2R 단회투여 용량증량 임상 1상 안전성 및 약동학 평가 |
GLP1R/GLP2R 비만.당뇨. 마우스모델의 베타 세포 보호 및 혈당 조절 효과 | ||
인벤티지랩 | IVL3021 | GLP-1 세마글루타이드 방출형 지속형 주사제 약동학적 평가 |
현대 약품 | HD-6277 | 2형 당뇨 환자에서 GPR40 작용제 효능 및 안전성 임상 2상 평가 |
펩트론 | PT-403 | GLP-1 세마글루타이드 1개월 주사제형의 전임상 안전성 및 약동학 평가 |
💡3세대 비만 치료제 개발 전략은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1일1회 경구제 및 용량 증가
- 새로운 작용 기전(MOA)
- 근육량 증가 효과
<한국 출시>
한국 노보 노디스크제약은 2023년 국내 식약처 허가를 받았고, 2024년 10월 한국 출시를 공지했습니다. 위고비는 10번째 판매 진출국이 된 셈입니다. 지난 10월 15일부터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비급여 전문의약품으로 성인,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5가지 용량(0.25mg, 0.5mg, 1.0mg, 1.7mg, 2.4mg)에 대해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사용 허가 기준은 비만으로 인한 질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심내혈관질환, 수면무호흡증 등 질환이 있는 분은 체질량지수 27 이상일 때 처방이 가능하며, 이러한 질환이 없는 분은 체질량지수 30 이상일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각종 언론을 통해 유명 인사들의 사용이 보도되면서 만병통치약처럼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전문의약품이므로 무분별하게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장 운동에 작용하기 때문에 구역질, 구토, 매스꺼움, 설사나 변비, 복부 팽창감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신장에 담석이 생기면서 담낭염이나 췌장염이 유발되거나 접종 부위에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당뇨가 있는 분들은 저혈당 증상과 당뇨병성 망막병증 악화로 인해 치아 손상 위험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여러 부작용에 대한 모니터링이 꼭 필요한 약품이기에, 식이조절과 운동을 병행할 때 건강한 체중 감소가 기대됩니다.